신약 성경에서의 악 개념은 구약에서 형성된 하나님의 통제 아래 있는 악이라는 틀을 넘어, 인격적 존재로서의 사탄과 마귀, 그리고 구조화된 악의 세력으로 확대된다. 본 논문은 복음서, 바울 서신, 일반 서신,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악의 개념을 문헌 비평적·신학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악이 신약 신학 내에서 어떻게 체계화되고 종말론적 전투 구도로 정립되었는지를 고찰한다.

 

배경과 목적

악의 개념은 성경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등장하지만, 신약에서는 그 성격이 명확히 변화된다. 구약에서 하나님의 허용 안에 있던 악이 신약에서는 보다 자율적이고 조직화된 실체로 등장하며, 하나님의 나라와의 우주적 대결 구도로 확대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환이 발생한 원인과 특징을 문헌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신학적 의미를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수의 공생애와 악의 정체

1. 복음서에서의 악의 인격화

 

(1) 마귀와 사탄의 등장

마태복음 4:111 / 누가복음 4:113

예수는 광야에서 마귀(디아볼로스)’에게 세 가지 시험을 받음

사탄은 능동적으로 인간을 타락시키려는 유혹자이자 도전자

 

(2) ‘악한 자의 표현

마태복음 6:13 (주기도문)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고, 다만 악에서(또는 악한 자에게서) 구하소서

추상적 개념을 넘는 인격적 존재를 지칭할 가능성

 

2. 귀신과 병의 연관성

 

마가복음 1:2327: 귀신들린 자를 예수께서 꾸짖어 쫓아내심

귀신은 단순한 병의 상징이 아니라 악한 영적 존재로서 인간의 삶을 왜곡하는 세력

 

복음서에서 악은 신체적·사회적 고통과 결합된 영적 실체로 등장함

 

바울 서신의 악 개념: 구조화된 영적 권세

1. 악의 권세와 통치 체계

 

에베소서 6:12

우리의 씨름은 혈과 육이 아니요... 통치자들과 권세들과 이 어둠의 세상 주관자들과 하늘에 있는 악의 영들과의 씨름이라.”

악은 단순한 도덕적 문제가 아니라 **체계적이고 조직화된 권세들(Powers)**로 표현됨

 

고린도후서 4:4

이 세상의 신이 믿지 않는 자들의 마음을 혼미하게 하여...”

 

바울에게 사탄은 이 세상의 신’, 즉 하나님을 대체하고 인간을 지배하는 존재

 

2. 사탄의 전략과 미혹

 

고린도후서 11:14

사탄도 자기를 광명의 천사로 가장한다.”

사탄은 위장과 기만의 전략으로 교회를 미혹함

데살로니가전서 2:18

우리는 너희에게 가고자 하였으나, 사탄이 우리를 막았다

 

악은 추상적 보다 능동적 대적자로서의 실재성을 가진다

 

일반 서신과 베드로서, 야고보서에서의 악

1. 마귀의 위협과 신자의 경계

 

베드로전서 5:8

너희 대적 마귀가 우는 사자같이 두루 다니며 삼킬 자를 찾나니

사탄은 지속적으로 성도를 위협하고 넘어뜨리려는 존재

 

야고보서 4:7

마귀를 대적하라. 그리하면 너희를 피하리라.”

성도는 악에 맞서 싸워야 할 존재로 간주됨

 

요한계시록과 종말론적 악

1. 사탄과 짐승, 용의 삼위 악체계

 

계시록 12:9

큰 용이 내쫓기니 옛 뱀 곧 마귀라고도 하고 사탄이라고도 하는 자...”

창세기의 뱀과 동일시 악의 기원을 신화적·우주적 관점으로 재구성

계시록 13: 바다에서 나온 짐승과 땅에서 나온 짐승(거짓 선지자)

악은 정치적, 종교적 세력으로 구체화

 

2. 최후의 심판

계시록 20:10

마귀가 불과 유황 못에 던져짐

사탄과 악의 세력은 궁극적으로 패배하고 심판됨

 

계시록은 악의 종말적 소멸과 하나님의 정의로운 통치를 선언함

 

요약 및 비교

범주 구약 신약
악의 성격 하나님의 도구, 징벌 인격적 존재, 유혹자, 파괴자
사탄의 기능 법정 고소자, 제한적 역할 능동적 지배자, 미혹자, 종말의 대적자
구조적 형태 제한적 이원론 영적 전쟁, 체계화된 권세
구도 하나님 중심 단극 구조 하나님 나라 vs 사탄의 나라 (양극 구조)
종말론 약함 또는 부재 악의 심판과 제거로 마무리

 

결론: 신약 신학에서 악의 기능과 의미

신약은 악을 도덕적 오류를 넘는 인격적이고 구조적인 세력으로 본다. 사탄은 하나님의 통제를 넘어 능동적으로 인간을 타락시키고 하나님의 계획에 저항하는 실체로 묘사된다. 바울은 이 악이 세상의 신, 권세자, 영적 실재로 활동한다고 하며, 요한계시록은 그 최후 심판을 선포한다. 신약의 악 개념은 단순한 죄의 결과가 아니라, 구속사 속 전 우주적 전쟁의 핵심 축으로 기능한다.

 

+ Recent posts